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사회 연결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사회 연결망은 개인, 집단, 조직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1890년대 후반 에밀 뒤르켐과 페르디난트 텡니스의 연구를 통해 개념이 제시되었으며, 20세기 초 게오르크 지멜에 의해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1930년대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분야에서 사회 연결망 연구가 발전했으며, 제이콥 모레노의 사회측정법,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등의 민족지학적 연구가 기반을 다졌다.

사회 연결망은 미시, 메소, 매크로 레벨로 분석되며, 그래프 이론, 균형 이론, 사회 비교 이론 등 다양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 구조적 역할 이론과 이질친화 이론이 있으며, 구조적 공백 개념은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와 기회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 분야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티, 복잡 네트워크, 범죄 네트워크, 혁신 확산, 인구통계학, 경제 사회학, 의료, 인간 생태학, 언어학, 문학 네트워크, 조직학, 사회 자본, 광고, 소셜 미디어, 분리 등 광범위하며, 관련 학술지를 통해 연구 성과가 공유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이론 - 중심성
    중심성은 그래프 이론에서 네트워크 내 노드의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차수 중심성, 근접 중심성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네트워크 흐름, 워크 구조 등 다양한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
  • 네트워크 이론 - 멩거의 정리
    멩거의 정리는 그래프의 연결도가 k일 필요충분조건이 임의의 두 정점 사이를 지나는 서로소인 경로가 k개 이상 존재하는 것임을 나타내는 정리로, 정점 및 변 연결도 버전이 있으며 유향/무향 그래프와 무한 그래프에도 적용 가능하고 네트워크 설계 등에 응용되며 최대 유량 최소 컷 정리 등과 관련이 있다.
  • 자기조직화 - 자생적 질서
    자생적 질서는 인간의 의도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질서를 의미하며, 오스트리아 경제학파가 시장경제 효율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으나,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 이론적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자기조직화 - 사회 연결망 분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 구조와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론으로, 사회학 이론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발전과 함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크기, 동질성, 중심성 등의 주요 분석 요소를 가진다.
사회 연결망
지도 정보
개요
정의사회적 행위자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사회 구조
특징
구성 요소개인
집단
조직
연결관계나 상호작용으로 연결됨
연결 강도연결 강도는 연결의 빈도나 중요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복잡성단순한 연결부터 복잡한 연결망까지 다양하게 나타남
역동성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 가능
분석 방법
사회 연결망 분석연결망 구조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
계량적 방법연결망의 크기, 밀도, 중심성 등을 측정
시각화연결망을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분석
주요 연구 분야
사회학사회 구조와 인간 행동을 연구
심리학사회적 관계와 개인의 심리적 영향을 연구
경제학경제적 상호작용과 시장 구조를 연구
전산학연결망 모델링과 알고리즘 개발
생물학생태계 연결망과 유전자 연결망 연구
보건학질병 확산 패턴과 건강 행동 연구
응용 분야
사회 운동사회 운동의 조직과 확산 분석
조직 관리조직 내부 및 외부 연결망 분석
마케팅입소문과 바이럴 마케팅 전략
공공 정책정책 효과 분석 및 사회적 영향 평가
기술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 연결망 분석
사회 연결망 분석의 중요 인물
스탠리 와서만사회 연결망 분석 방법론 연구의 선구자
린튼 프리먼사회 연결망 분석의 역사와 발전에 대한 연구
스티븐 P. 보르가티사회 연결망 분석의 다양한 방법론 및 응용 연구
기타
관련 주제사회적 상호작용
사회 구조
관계
사회적 자본
사회적 영향
사회 심리학

2. 역사

소셜 네트워크 개념은 19세기 말 에밀 뒤르켐과 페르디난트 텡니스의 사회 집단 이론에서 시작되었다. 텡니스는 사회 집단이 가치와 믿음을 공유하는 개인들을 연결하는 개인적이고 직접적인 사회적 유대(''게마인샤프트'', "공동체") 또는 비인격적이고 형식적이며 도구적인 사회적 유대(''게젤샤프트'', "사회")로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00] 뒤르켐은 사회 현상이 상호작용하는 개인들이 더 이상 개별 행위자의 속성으로 설명될 수 없는 현실을 구성할 때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20세기 초 게오르크 지멜은 네트워크의 특성과 크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9]

Moreno의 2학년 학급 사회도


1930년대에는 심리학, 인류학, 수학 분야에서 소셜 네트워크 연구가 발전했다.[6][10][11] 심리학에서는 제이콥 모레노가 소규모 그룹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했다(사회측정법 참조).[101] 인류학에서는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12] 래드클리프-브라운,[13][14] 클로드 레비-스트로스[15]의 연구가 소셜 네트워크 이론의 기초를 마련했다. 맥스 글럭만과 맨체스터 학파 소속 사회인류학자들(존 아룬델 바른스,[16] J. 클라이드 미첼, 엘리자베스 보트 스필리우스[17][18])은 남아프리카, 인도, 영국에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조사하며 초기 네트워크 분석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6] 지그프리트 프레드릭 나델은 사회 구조 이론을 체계화했다.[19] 사회학에서는 탈콧 파슨스의 초기 연구가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관계적 접근 방식을 제시했고,[20][21] 피터 블라우는 사회 교환 이론 연구를 통해 사회 단위의 관계 분석에 기여했다.[22][23][24]

1970년대 해리슨 화이트와 그의 하버드대학교 사회관계학과 제자들은 사회학에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발전시켰다. 찰스 틸리는 정치 및 지역 사회 사회학과 사회 운동의 네트워크를 연구했고, 스탠리 밀그램은 "6단계 분리" 이론을 제시했다.[25] 마크 그래노베터[26]와 배리 웰먼[27]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구체화하고 옹호했다.[26][28][29][30]

1990년대 이후 던컨 왓츠, 알베르트-라즐로 바라바시, 피터 비어먼, 니콜라스 크리스타키스, 제임스 파울러 등은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의 등장과 함께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더욱 확장했다.

3. 분석 수준

사회 연결망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국지적 상호작용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일관된 패턴이 나타날 정도로 자기조직화되고, 창발적이며 복잡하다.[32][33] 이러한 패턴은 네트워크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명확해진다. 그러나 전 세계의 모든 대인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네트워크 분석[34]은 실현 불가능하며, 너무 많은 정보를 포함하여 정보가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컴퓨팅 성능, 윤리, 참가자 모집 및 보상에 대한 실질적인 제한 또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범위를 제한한다.[35][36] 대규모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지역 시스템의 미묘한 차이가 손실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규모보다 정보의 질이 더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 네트워크는 연구자의 이론적 질문과 관련된 규모에서 분석된다. 분석 수준이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네트워크가 속할 수 있는 세 가지 일반적인 수준은 미시 수준, 중시 수준, 거시 수준이다.


  • '''부분 집합 수준''': 미시적 수준에서 시작하지만 중시적 수준의 분석으로 넘어갈 수 있다. 거리 및 도달 가능성, 클리크, 응집력 있는 하위 그룹 또는 다른 집단 행위나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37]


개인 간 상호 작용을 추적하는 대신, 거시적 분석은 일반적으로 대규모 집단에 걸쳐 경제적 또는 다른 자원 전달 상호 작용과 같은 상호 작용의 결과를 추적한다.

3. 1. 마이크로 레벨

사회 연결망 연구는 마이크로 레벨에서 개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 수준의 연구는 관계의 구조, 사회적 평등, 그리고 상호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원 관계 수준''': 이원 관계는 두 개인 사이의 사회적 관계이다. 이 수준에서는 관계의 구조(예: 다중성, 강도), 사회적 평등, 상호성 경향을 연구한다.

'''삼원 관계 수준''': 삼원 관계는 이원 관계에 한 명을 더 추가하여 형성된다. 이 수준의 연구는 균형 및 추이성, 사회적 평등, 상호성 경향에 초점을 맞춘다.[35] 프리츠 하이더의 균형 이론에 따르면, 삼원 관계는 사회 역동성의 핵심이다. 예를 들어, 경쟁적인 사랑의 삼각관계는 불균형적인 삼원 관계의 예시인데, 이는 관계 중 하나의 변화를 통해 균형 잡힌 삼원 관계로 바뀔 수 있다. 사회적 우정의 역동성은 삼원 관계의 균형을 통해 모델링되며, 이는 부호 그래프 이론으로 발전되었다.

'''행위자 수준''':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가장 작은 단위는 사회적 환경에 있는 개인, 즉 "행위자" 또는 "자아"이다. 에고네트워크 분석은 크기, 관계 강도, 밀도, 중심성, 위신, 고립체, 연락책, 다리와 같은 역할과 같은 네트워크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76] 이러한 분석은 심리학 또는 사회심리학, 민족지적 혈족 분석 또는 개인 간 관계에 대한 다른 계보학적 연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3. 2. 메소 레벨

메소 레벨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레벨과 매크로 레벨 사이에 속하는 모집단 크기로 시작한다. 그러나, 메소 레벨은 마이크로 레벨과 매크로 레벨 간의 연결을 밝히도록 특별히 설계된 분석을 참조할 수도 있다. 중저밀도 네트워크는 저밀도이며 대인 마이크로 레벨 네트워크와 구별되는 인과 프로세스를 나타낼 수 있다.[38]

사회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중간 수준

  • '''조직''': 공식적인 조직은 집단적인 목표를 위해 업무를 분배하는 사회 집단이다.[39] 조직에 대한 네트워크 연구는 공식 또는 비공식 관계 측면에서 조직 내 또는 조직 간 유대 관계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조직 내 네트워크 자체는 여러 수준의 분석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여러 지점, 프랜차이즈 또는 반자치 부서가 있는 대규모 조직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경우에, 연구는 종종 두 구조 사이의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작업 그룹 수준과 조직 수준에서 수행된다.[39] 온라인 네트워크 그룹과의 실험은 그룹에 자율 에이전트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개입을 통해 그룹 수준의 조정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문서화했다.[40]

  • '''무작위로 분포된 네트워크''': 소셜 네트워크의 지수적 무작위 그래프 모델은 1980년대에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최첨단 방법이 되었다. 이 프레임워크는 많은 인간 사회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일반적인 차수 기반 구조 효과와 상호성과 추이성, 노드 수준, 동질성 및 속성 기반 활동 및 인기 효과 등을 포함하여 많은 인간 사회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사회 구조적 효과를 나타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 연결 간의 종속성에 대한 명시적 가설에서 파생되었다. 매개변수는 네트워크에서 작은 부분 그래프 구성의 유병률 측면에서 주어지며, 주어진 네트워크가 나타나는 지역 사회 프로세스의 조합을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주어진 행위자 집합의 네트워크에 대한 이러한 확률 모델을 사용하면 미시 네트워크의 제한적인 이원 독립 가정을 넘어 일반화할 수 있으므로 사회 행동의 이론적 구조적 토대에서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41]


무작위 네트워크와 스케일-프리 네트워크의 예. 각 그래프는 32개의 노드와 32개의 링크를 가지고 있다. 스케일-프리 다이어그램(오른쪽)의 "허브"(차수가 큰 노드)에 유의하십시오.

  • '''척도 없는 네트워크''': 스케일-프리 네트워크는 적어도 점근적으로 멱 법칙을 따르는 차수 분포를 갖는 네트워크이다.[102] 네트워크 이론에서 스케일-프리 이상 네트워크는 사회 집단의 크기 분포를 밝히는 차수 분포를 갖는 무작위 네트워크이다.[42] 스케일-프리 네트워크의 특정 특성은 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이론과 분석 도구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스케일-프리 네트워크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스케일-프리 네트워크에서 한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은 평균을 크게 초과하는 차수를 가진 정점의 상대적 일반성이다. 가장 높은 차수의 노드는 종종 "허브"라고 하며 네트워크에서 특정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는 사회적 맥락에 크게 의존한다. 스케일-프리 네트워크의 또 다른 일반적인 특징은 노드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군집 계수 분포이다. 이 분포는 또한 멱 법칙을 따른다.[43] 위에 표시된 바라바시 네트워크 진화 모델은 스케일-프리 네트워크의 한 예이다.

3. 3. 매크로 레벨

대규모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수준이다. 대규모 네트워크, 복잡한 네트워크 등을 분석하며, 네트워크의 특징(군집화 계수, 커뮤니티 구조 등)을 연구한다.[103]

  • '''대규모 네트워크:''' 사회 및 행동 과학,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매크로 레벨"과 다소 동의어이다. 원래 이 용어는 컴퓨터 과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대규모 네트워크 매핑 참조).

  • '''복잡한 네트워크:''' 대부분의 대규모 소셜 네트워크는 생물학 및 기술과 마찬가지로, 순수하게 규칙적이지도 않고 순전히 임의적이지도 않은 요소들 사이의 복잡한 연결 패턴(복잡성 과학, 동역학계, 카오스 이론 참조)과 함께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실질적인 중요하지 않은 특징을 포함한다.[103] 이러한 복잡한 네트워크 특징에는 차수 분포의 긴 꼬리, 높은 군집 계수, 정점 간의 정렬성 또는 비정렬성, 커뮤니티 구조(확률적 블록 모델 참조) 및 계층 구조가 포함된다. 작용 지향적 네트워크의 경우, 상호성, 삼항 관계 중요도 프로필(TSP, 네트워크 모티프 참조) 및 기타 특징도 포함된다.

4. 이론적 연결

사회 연결망은 개인, 그룹, 조직 또는 전체 사회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사회 과학의 이론 구조이다. 이 용어는 상호작용으로 결정되는 사회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사회적 단위가 연결되는 유대는 다양한 사회적 접촉의 융합을 나타낸다. 이 이론적 접근은 관계적이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법의 원칙은 사회적 현상이 단위 자체의 속성 대신 단위 간 관계의 속성을 통해 주로 구상되고 조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은 개별 기관이 종종 무시된다는 것이다. 네트워크 분석은 다양한 유형의 관계가 네트워크 구성을 형성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연구에 유용하다. 사회과학에서 이러한 연구 분야는 인류학, 생물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경제, 지리학, 정보과학, 조직학, 사회학 등을 포함한다.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에서는 “'''노드'''(nodes)”와 “'''연결'''(ties)”이라는 관점에서 사회적 인접성을 고찰한다. 노드는 네트워크에 관련된 개인을 가리키며, 연결은 관계자 간의 유대를 나타낸다. 노드 간에는 다양한 종류의 연결로 나타낼 수 있다. 사회적 네트워크는 모든 노드를 적절한 연결로 연결한 지도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 네트워크는 관련된 개인이 가진 사회적 자본(

사회적 네트워크의 모습은 개인에게 있어 그 네트워크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열쇠가 된다. 개방적인 네트워크에는 사회적 공백이나 약한 연결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폐쇄적인 네트워크보다 더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 단지 함께 무언가를 하는 친구 집단은 이미 같은 지식과 기회를 공유하고 있다. 반면, 다른 사회적세계에 관계를 맺는 개인 집단은 더 넓은 범위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많은 연결을 가지는 것보다 다양한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가지는 것이 개인이 무언가를 성취할 때 더 유익하다.

4. 1. 수입 이론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는 다양한 이론적 틀이 도입되었다.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는 그래프 이론, 균형 이론, 사회 비교 이론, 그리고 최근에는 사회 정체성 이론이 있다.[104]

4. 2. 토착 이론

구조적 역할 이론과 이질친화 이론이 있다.[46] 이질론은 정보와 혁신을 추구하는 데 약한 연결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파벌은 더 균질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공통된 특성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질성 경향은 파벌 구성원들이 처음부터 서로 끌리는 이유였다. 그러나 구성원들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각 구성원은 다른 구성원들이 아는 것을 거의 알고 있을 것이다. 새로운 정보나 통찰력을 얻으려면 파벌 구성원들은 파벌 밖의 다른 친구들과 지인들에게 눈을 돌려야 한다. 이것이 그래노베터가 "약한 유대의 힘"이라고 부른 것이다.[46]

5. 구조적 공백

네트워크 내에서 연결되지 않은 두 집단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하는데, 이를 구조적 공백이라고 한다. 이러한 구조적 공백은 비중복적인 정보를 가진 두 개의 분리된 군집(클러스터) 사이에 나타난다.[48] 구조적 공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중복되지 않는 정보와 부가적인 네트워크 편익을 제공한다.[48]

구조적 공백이 풍부한 네트워크는 정보 이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회자본의 일종으로 간주된다.[48] 구조적 공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주체는 다양한 소스와 클러스터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48] 예를 들어, 비즈니스 네트워크에서 개인의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산업/분야에 걸쳐 있으면 구직 및 기타 기회에 대한 정보를 얻을 가능성이 높아져 경력에 도움이 된다.[49] 이는 마크 그래노베터의 약한 유대 이론과 유사하며, 넓은 범위의 접촉을 갖는 것이 직업적 성취에 유리하다는 점에 기반한다.[49]

많은 조직에서 구성원들은 자신의 그룹 내 활동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창의성을 저해하고 기회를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47] 그러나 구조적 공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가진 구성원은 보상적인 기회를 포착하고 발전시키는 데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47] 이들은 서로 접촉하지 않았을 두 집단 사이에서 정보의 "중개자" 역할을 하며, 새로운 아이디어, 의견 및 기회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존 스튜어트 밀은 "서로 다른 사람들과 인간을 접촉시키는 가치를 과대평가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소통은 진보의 주요 원천 중 하나입니다"라고 언급하며 구조적 공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83]

6. 연구 분야

사회 네트워크는 사회 과학에서 개인, 그룹, 조직 또는 전체 사회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구조이다. 이 용어는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사회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사회적 단위들을 연결하는 유대는 다양한 사회적 접촉의 융합을 나타낸다. 사회 네트워크 이론의 일반적인 비판 중 하나는 개별 행위 능력이 무시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지만,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등을 통해 그렇지 않을 수 있다.[6] 다양한 유형의 관계가 네트워크 구성을 형성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분석은 광범위한 연구에 유용하다. 사회 과학에서 이러한 연구 분야는 다음을 포함한다.

연구 분야
인류학
생물학
커뮤니케이션학
경제학
지리학
정보 과학
조직 연구
사회 심리학
사회학
사회 언어학



이 외에도 사회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 예술: 예술가들의 네트워크 그룹화가 개별 예술가의 경매 실적에 미치는 영향[52], 박물관 전시에서 예술가들이 함께 전시될 때 생성되는 네트워크 분석[50][51]
  • 갈등 및 협력: 행위자 간 상호 의존성의 본질과 갈등 및 협력의 결과와 관계[53], 집단행동 참여자 간의 협력적 행동, 비공식적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통한 평화적 행동, 사회 규범공공재 증진, 국가 내 및 국가 간 갈등에서 사회 네트워크의 역할, 정치인, 유권자, 관료 간의 사회적 네트워킹[53]
  • 경제 사회학: 사회자본과 사회 "시장"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행동적 상호작용을 고려하며, 사회 구조, 정보, 처벌 또는 보상 능력, 신뢰의 상호작용에 대한 핵심 원리를 개발한다.[65]

6. 1.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종종 사회과학인문학의 한 부분으로 여겨지는데,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정보과학, 생물학, 정치학, 경제학뿐만 아니라 수사학, 문학 연구, 기호학 등의 분야에도 크게 의존하고 있다. 많은 통신 개념은 한 소스에서 다른 소스로의 정보 전송을 설명하며, 따라서 네트워크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6. 2. 커뮤니티

J.A. 반스 시대의 "커뮤니티"는 특정한 지리적 위치와 공동체 관계에 대한 연구를 의미했고[105], 누가 누구와 이야기하고, 관계를 맺고, 거래하고, 교회에 다녔는지에 대한 연구를 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통신 장치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개발된 확장된 "온라인" 커뮤니티가 있다. 이러한 장치와 서비스는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유지보수 및 분석이 필요하며, 종종 네트워크 과학 방법을 사용한다. 오늘날 지역사회 개발 연구도 이러한 방법을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6. 3. 복잡 네트워크

복잡계 네트워크는 사회적 복잡성과 복잡 적응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해석하기 위해 동적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포함한 특정한 방법을 필요로 한다.[44] 이중 단계 진화와 같은 메커니즘은 연결성의 시간적 변화가 사회 네트워크 구조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설명한다. 대부분의 대규모 사회 네트워크는 완전히 규칙적이지도 않고 완전히 무작위적이지도 않은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상당한 비자명한 특징을 포함하여 사회적 복잡성의 특징을 보인다.[44] 이러한 복잡한 네트워크 특징에는 차수 분포의 긴 꼬리, 높은 군집 계수, 정점 간의 정렬성 또는 비정렬성, 커뮤니티 구조(확률적 블록 모델 참조) 및 계층 구조가 포함된다.[44] 작용 지향적 네트워크의 경우 이러한 특징에는 상호성, 삼항 관계 중요도 프로필(TSP) 및 기타 특징이 포함된다.[44]

6. 4. 범죄 네트워크

범죄학도시 사회학에서는 범죄 행위자들 간의 사회적 연결망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106] 예를 들어, 살인은 갱들 간의 일련의 교환으로 볼 수 있다. 더 약한 갱단은 보복으로 더 강한 갱단의 구성원을 죽일 여력이 없기 때문에 다른 폭력 행위를 저질러 자신의 힘에 대한 명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살인은 단일 출처에서 바깥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54]

6. 5. 혁신 확산

아이디어와 혁신의 확산 연구는 한 행위자에서 다른 행위자로, 또는 한 문화에서 다른 문화로 아이디어의 확산과 사용에 초점을 맞춘다. 이 연구 분야는 왜 어떤 사람들이 아이디어와 혁신을 "조기에 채택하는 사람들"이 되는지 설명하고, 사회적 네트워크 구조를 혁신의 확산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소와 연결한다. 한 예로 신조어와 같은 언어적 혁신의 사회적 확산이 있다.[55] 니콜라스 크리스타키스와 그의 공동 연구자들이 수행한 실험과 대규모 현장 실험은 온두라스 마을,[55] 인도 슬럼,[57] 또는 실험실[58]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바람직한 행동의 연쇄 반응을 사회 집단에서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56] 다른 실험들은 투표 행동,[59] 감정,[60] 위험 인식,[61] 및 상업 제품[62]의 사회적 전염의 실험적 유도를 기록했다.

6. 6. 인구통계학

인구통계학에서 사회 연결망 연구는 열거하기 어려운 모집단을 추정하고 접촉하는 새로운 표본 추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응답자 주도 표본 추출은 설문 조사 응답자가 추가 응답자를 추천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표본 추출 기법이다.[63][64] 이는 노숙자나 정맥 주사 약물 사용자 등 기존의 방법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집단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6. 7. 경제 사회학

경제 사회학은 사회적 관계가 경제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마크 그래노베터는 사회 구조와 네트워크가 고용, 가격, 생산성, 혁신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107]

6. 8. 의료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역학 연구뿐만 아니라 환자 의사소통 및 교육, 질병 예방, 정신 건강 진단 및 치료 모델, 그리고 보건 의료 기관 및 시스템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66] [92] 또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기도 하다(자기관리 부족 간호 이론).

6. 9. 인간 생태학

인간생태학은 인간과 자연, 사회, 그리고 건축 환경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제간(interdisciplinary) 및 초학제간(transdisciplinary) 학문이다.[67][68] 인간 생태학과학철학지리학,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동물학, 그리고 자연 생태학과 연결된 다양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6. 10. 언어와 언어학

언어언어학, 특히 진화 언어학의 연구는 언어적 형태의 개발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네트워크를 통해 한 언어 시스템에서 다른 언어 시스템으로의 변화, 소리 또는 단어의 전달에 초점을 맞춘다. 사람들의 집단이 그들의 레퍼토리에 언어를 추가하거나 포기하기 때문에 소셜 네트워크 또한 언어 이동에서 중요하다.[109]

6. 11. 문학 네트워크

문학 시스템 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은 안하이어(Anheier), 게르하르츠(Gerhards), 로모(Romo)[69], 드 누이(De Nooy)[70], 세네칼(Senekal)[71], 롯커(Zvi Lotker)[72]가 문학의 다양한 기능적 측면을 연구하는 데 적용해 왔다. 기본 전제는 에벤-조하르(Even-Zohar)의 저술 이후로 존재해 온 다체계 이론(polysystem theory)을 네트워크 이론과 통합할 수 있으며, 작가, 비평가, 출판사, 문학사 등 문학 네트워크 내 다양한 행위자 간의 관계를 사회 연결망 분석(SNA)의 시각화를 이용하여 매핑할 수 있다는 것이다.[110]

6. 12. 조직학

조직에 대한 네트워크 연구는 공식적인 또는 비공식적인 관계 측면에서 조직 내부 또는 조직 간의 유대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조직 내 네트워크는 특히 여러 지점, 프랜차이즈 또는 자율적인 부서가 있는 대규모 조직에서 여러 분석 수준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연구는 작업 그룹 수준과 조직 수준에서 수행되어 두 구조 간의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춘다.[39] 많은 조직 소셜 네트워크 연구는 팀에 집중한다.[74] 팀 네트워크 연구 내에서 연구는 중심성과 권력, 팀 도구적 및 표현적 유대의 밀도와 중앙 집중화의 예측 변수와 결과, 그리고 팀 간 네트워크의 역할을 평가한다. 조직 내 네트워크는 조직 몰입,[75] 조직 정체성,[76] 대인 관계 시민 행동[77]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13. 사회 자본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네트워크가 중심이 되고, 거래는 상호주의, 신뢰, 협력으로 특징지어지며, 시장 참여자들이 주로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공동의 이익을 위해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경제적 및 문화 자본의 한 형태이다.[109] 사회적 자본은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차원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뉜다.

  • 구조적 차원: 파트너가 서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와 소셜 네트워크에서 어떤 특정 파트너를 만나는지를 설명한다. 또한 조직 간의 유대 수준을 나타낸다.[78]
  • 관계적 차원: 파트너 간 관계의 신뢰도, 규범, 기대 및 정체성을 의미한다. 주로 조직 네트워크에 따른 신뢰 수준에 의해 설명되는 이러한 유대의 성격을 설명한다.[78]
  • 인지적 차원: 조직이 유대와 상호작용의 결과로 공통의 목표와 목적을 공유하는 정도를 분석한다.[78]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관계의 가치와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협력과 신뢰의 역할에 대한 사회학적 개념이다. 이 용어는 사회적 유대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새로 입국한 이민자는 기존 이주자들과의 사회적 유대 관계를 이용하여 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데, 현지 언어에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사회 자본과 사회 네트워크 사용 강도 사이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79][80][81] 동적 프레임워크에서 네트워크의 더 높은 활동은 더 많은 활동을 장려하는 더 높은 사회 자본으로 이어진다.[79][82]

6. 14. 광고

이 클러스터는 고객 참여가 영업 및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브랜드 이미지 및 홍보 전략 효과를 중점적으로 다룬다.[111] 이것은 데이터 마이닝과 분석과 같은 수학적 연구 영역에 의존하는 감정 분석과 같은 기술을 통해 측정된다.[112] 이 연구 분야는 방대한 수의 상업적 응용 분야를 생산하는데,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판매를 촉진하는 것이다.

6. 15. 네트워크 위치 및 이점

사회 연결망 내에서 개인의 위치는 그 사람이 얻을 수 있는 정보, 기회, 관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네트워크 중심에 있는 사람들은 다양한 정보와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사회 구조는 강한 연결고리로 묶인 집단(클러스터)들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집단 내에서는 정보가 비슷하고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48] 서로 다른 집단을 연결하는, 즉 '구조적 공백'을 메우는 네트워크는 중복되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며, 이는 개인에게 이점으로 작용한다.[48]

구조적 공백이 많은 네트워크는 정보 획득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가진 개인은 다양한 출처와 집단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48] 예를 들어, 비즈니스 네트워크에서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는 사람은 새로운 직업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더 크다. 이는 마크 그래노베터의 '약한 유대관계 이론'과도 일맥상통한다.[49]

조직 내에서도 구조적 공백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원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회를 발견하고 개발하는 데 유리하다.[47] 이들은 서로 다른 집단 간의 정보 중개자 역할을 하며, 존 스튜어트 밀이 강조한 것처럼, 서로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은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83] 이러한 정보 중개는 개인의 경력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자본 중개자는 정보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관리상의 이점도 누린다. 컨설팅 회사인 에덴 맥칼럼의 창업자들은 이전 직장 동료들과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85]

그러나 정보 중개의 이점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자오즈싱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 첨단 기술 기업에서는 기업 전체의 협력적인 분위기 때문에 구조적 공백의 이점이 제대로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86] 하지만 2004년 로널드 버트의 연구에서는 다른 그룹과 자주 소통하는 관리자들이 더 나은 평가와 보상을 받는다는 결과가 나왔다.[47]

6. 16. 소셜 미디어

컴퓨터 네트워크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가 결합하여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새로운 매체가 생겨났다.[114] 컴퓨터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한 관계는 맥락, 방향 및 강도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관계의 내용은 교환되는 자원을 의미한다.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환경에서 사회적 쌍은 데이터 파일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보내는 것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거나 미팅을 주선하는 등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교환한다. 전자상거래의 부상과 함께 교환되는 정보는 "실제" 세계에서의 돈, 상품 또는 서비스 교환에도 해당될 수 있다.[87]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은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을 조사하는 데 필수적이 되었다.

소셜 미디어의 엄청난 규모와 불안정한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네트워크 지표가 생겨났다. 소셜 미디어에서 추출된 네트워크의 주요 관심사는 누락된 데이터가 주어진 네트워크 지표의 견고성 부족이다.[88]

온라인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이다. 이러한 웹사이트는 커뮤니티로 기능한다. 사이트에서는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갖춘 주소록, 프로필 표시 기능, 새로운 연결을 형성하는 능력인 소개 기능, 기타 온라인 상의 사회적 연결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트위터(Twitter)와 같은 "미니 블로그"라고 불리는, 인간 커뮤니티 형성에 그다지 중점을 두지 않고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 등 짧은 글을 가볍게 게시하여 그로 인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소셜 미디어도 존재한다.

트위터(Twitter)는 페이스북(Facebook)이나 믹시(mixi) 등 기존 SNS와 달리, 상대방의 승인 없이도 팔로우하여 해당 사용자의 트윗을 자유롭게 열람하거나, 리트윗을 통해 팔로워에게 전달하고, 멘션 기능을 통해 대화할 수 있다.[93] 따라서 사용자의 팔로우 관계를 네트워크로 표현한 독창적인 사회적 네트워크인 "팔로우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94] 팔로우 네트워크는 팔로우 대상을 화살표로 표시한 유향 네트워크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트위터 상의 사회적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멘션을 에지로 간주하여 "멘션 네트워크"로 볼 수도 있다.[95] 이처럼 팔로우 관계에 따른 네트워크와 멘션이라는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이중성이 트위터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트위터의 팔로우 네트워크를 분석할 때, 사용자가 어떻게 팔로우할 사용자를 선택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팔로우하는 동기로는 "사용자 지향", "콘텐츠 지향", "상호성"의 세 가지 축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96] 사용자 지향은 사용자에게 관심이 있는 것이고, 콘텐츠 지향은 사용자가 발신하는 트윗의 내용이나 정보에 관심이 있는 것이다. 상호성은 상호 팔로우를 통해 대화와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팔로우이다.

미국(アメリカ合衆国)에서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운영되며 약 100만 명의 등록자 수를 자랑했던 SixDegrees.com이 현대적인 SNS의 기원이 되었고, 2003년경부터는 프렌드스터(Friendster), www.thehoosierweb.com, Tribe.net, 링크드인(LinkedIn) 등의 사이트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2004년에는 현재 SNS의 중심적인 존재인 페이스북(Facebook)의 전신인 FaceMash가 하버드 대학교 내에서 한정적으로 공개되었다. 현재는 200개 이상의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가 존재한다. 검색 엔진 구글(Google)도 2004년 1월 22일에 오르쿠트(orkut)를 출시하고, 2011년 6월에는 구글 플러스(Google+)를 시작했다. 또한, 스페인어포르투갈어의 소셜 네트워크인 Kibop도 2004년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LiveJournal과 같은 사이트에서는 블로그를 상호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더 발전된 형태로, StumbleUpon과 Funchain처럼 사람과 블로그 모두를 상호 연결하는 의미론적(세만틱) 소셜 네트워크도 등장하고 있다. 스스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있다.[97] 또한, 소셜 네트워크는 비즈니스 세계에도 도입되고 있다.[98]

SNS는 아니지만, 2010년대 후반 이후 비즈니스에서는 업무 연락을 할 때 슬랙(Slack) 등의 채팅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비즈니스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교환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6. 17. 분리(Segregation)

사람들은 동조성(동조성) 패턴에 따라 자신과 가장 유사한 사람과 관계를 맺거나, 지역적으로 분리(분리)된 환경에서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높다. 개인은 자신과 비슷한 다른 사람과 같은 지역에 거주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 연결망은 사회 연결망 내의 분리 또는 동조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사회 연결망은 동조성 과정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 내 개인의 현재 사회 연결망에서 서로 다른 그룹이 얼마나 노출되는지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89]

7. 관련 학술지

참조

[1] 서적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Organizations and Organizing Pearson Prentice Hall
[3] 서적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Empirical Press
[4] 학술지 Network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5] 서적 Networks, Crowds, and Markets: Reasoning about a Highly Connected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Sage Publications
[7] 서적 Community and Society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Free Press
[9] 서적 Soziologie Duncker & Humblot
[10] 서적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11] 서적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Sage
[12] 서적 The Family Among the Australian Aborigines: A Sociological Study University of London Press
[13] 서적 The social organization of Australian tribes University of Sydney
[14] 학술지 On social structure
[15] 서적 The Elementary Structures of Kinship Beacon Press
[16] 학술지 Class and Committees in a Norwegian Island Parish
[17] 학술지 A note on the ancestral Toronto home of social network analysis
[18] 학술지 Elizabeth Bott and the formation of modern British sociology
[19] 서적 The Theory of Social Structure Cohen and West
[20] 서적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A Study in Social Theory with Special Reference to a Group of European Writers The Free Press
[21] 서적 The Social System The Free Press
[22] 서적 Bureaucracy in Modern Society Random House, Inc.
[23] 학술지 A Theory of Social Integration
[24] 서적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25] 웹사이트 The Networked Individual: A Profile of Barry Wellman http://www.semiotico[...] 2012-06-15
[26] 학술지 Introduction for the French Reader
[27] 서적 Social Structures: A Network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ories and Theory Groups in Contemporary American Sociology Harper and Row
[29] 서적 An Urban World Little Brown
[30] 서적 Social Structures: A Network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학술지 Impact of single links in competitive percolation
[32] 서적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Network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학술지 Review: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34] 서적 Social network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 Press
[35] 서적 Understanding social networks: Theories, concepts, and findings Oxford University Press
[36] 논문 Network sampling: Some first steps
[37] 서적 Computational Complexity Springer
[38] 논문 Mesolevel Networks and the Diffusion of Social Movements: The Case of the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http://www.nuffield.[...] 2012-02-26
[39] 논문 Multiple identities and work motivation: The role of perceived compatibility between nested organizational units
[40] 논문 Locally noisy autonomous agents improve global human coordination in network experiments
[41] 논문 Inferential Network Analysis with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s
[42] 논문 Competitive cluster growth in complex networks
[43] 서적 Linked: how everything is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and what it means for business, science, and everyday life Plum
[44] 논문 Exploring complex networks
[45] 서적 Social networks and organisations Sage Publications
[46] 논문 The strength of weak ties
[47] 논문 Structural Holes and Good Ideas
[48] 서적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49] 논문 Structural Hole Theory in Social Network Analysis: A Review https://chenyang03.f[...] 2022
[50] 논문 Historic networks and commemoration: Connections created through museum exhibitions 2020-08-01
[51] 논문 Networks Created Within Exhibition: The Curators' Effect on Historical Recognition 2021-01-01
[52] 논문 Reputation, Status Networks, and the Art Market September 2019
[53] 논문 Network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11 May 2021
[54] 논문 Murder by Structure: Dominance Relations and the Social Structure of Gang Homicide http://www.papachris[...] 2013-03-29
[55] 논문 Social network targeting to maximise population behaviour change: a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2015-07-11
[56] 논문 Induction of social contagion for diverse outcomes in structured experiments in isolated villages 2024-05-03
[57] 논문 Algorithms for seeding social networks can enhance the adoption of a public health intervention in urban India 2022-07-26
[58] 논문 Cooperative behavior cascades in human social networks
[59] 논문 A 61-million-person experiment in social influence and political mobilization
[60] 논문 Experimental evidence of massive-scale emotional contagion through social networks http://m.pnas.org/co[...]
[61] 논문 The amplification of risk in experimental diffusion chains http://www.pnas.org/[...]
[62] 논문 Creating Social Contagion Through Viral Product Design: A Randomized Trial of Peer Influence in Networks
[63] 논문 Methods for Inference from Respondent-Driven Sampling Data https://www.annualre[...] 2021-09-21
[64] 논문 Network Sampling: From Snowball and Multiplicity to Respondent-Driven Sampling 31 July 2017
[65] 논문 The Impact of Social Structure on Economic Outcomes
[66] 서적 Social Networks and Health JAI Press
[67] 간행물 Special Issue: Social network analysis in natural resource governance http://www.ecologyan[...]
[68] 간행물 Reading list: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in social-ecological studies http://rs.resallianc[...]
[69] 논문 Forms of capital and social structure of fields: examining Bourdieu's social topography
[70] 논문 Fields and networks: Correspondence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 the framework of Field Theory
[71] 논문 Die Afrikaanse literêre sisteem: ʼn Eksperimentele benadering met behulp van Sosiale-netwerk-analise (SNA)
[72] 서적 Machine Narrative http://dx.doi.org/10[...]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03-16
[73] 논문 Resources and relationships: Social networks and mobility in the workplace
[74] 논문 Understanding Work Teams From a Network Perspective: A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2020-03-02
[75] 논문 Exploring the role of social networks i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Network centrality, strength of ties, and structural holes
[76] 논문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Extending our understanding of social identities through social networks
[77] 논문 Relational correlates of interpersonal citizenship behaviour: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78] 기타
[79] 서적 Social Informatic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06-09
[80] 논문 Is There Social Capital in a Social Network Site? Facebook Use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Trust, and Participation
[81] 논문 Social Connectivity in America: Changes in Adult Friendship Network Size from 2002 to 2007
[82] 논문 The role of reciprocation in social network formation, with an application to LiveJournal
[83]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William J Ashley
[84] 논문 The Network Concept of Creativity and Deep Thinking: Applications to Social Opinion Formation and Talent Support http://journals.sage[...] 2017-07
[85] 논문 Eden McCallum: A Network Based Consulting Firm
[86] 논문 When Brokers May Not Work: The Cultural Contingency of Social Capital in Chinese High-tech Firms https://web.archive.[...] 2016-09-14
[87] 논문 Studying Online Social Networks 2006-06-23
[88] 논문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Users and Network Stability on Twitter
[89] 논문 Measuring segregation in social networks https://linkinghub.e[...] 2014-10-01
[90] 간행물 情報通信白書 平成30年度版 https://www.soumu.go[...] 총무성 2020-12-27
[91] 간행물 国民生活白書 https://www5.cao.go.[...] 내각부 국민생활국 총무과조사실 2020-12-27
[92] 서적 Social Networks and Health JAI Press
[93] 간행물 ネットワーク分析によるTwitterユーザのフォロー形成に関する一考察 https://cir.nii.ac.j[...] 2020-12-27
[94] 논문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r a News Media? https://doi.acm.org/[...] ACM 2010
[95] 웹사이트 DBSJ Journal, Vol.11, No.2, pp.13-18 コリンク構造に着目した多重グラフの特性分析 http://dbsj.org/jour[...] 2019-01-21
[96] 논문 Why You Follow: A Classification Scheme for Twitter Follow Links https://doi.acm.org/[...] ACM 2014
[97] 웹사이트 Sparta http://www.spartasoc[...]
[98] 웹사이트 Ecademy, ReferNet, Shortcut 등
[99] 서적 Militarismus des Zivilen in Japan 1937–1940: Diskurse und ihre Auswirkungen auf politische Entscheidungsprozesse Iudicium Verlag
[100] 논문 Community and Society: 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http://dx.doi.org/10[...] 1958-12
[101] 웹사이트 소시오메트리 https://terms.naver.[...] 2020-12-19
[102] 서적 Linked: how everything is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and what it means for business, science, and everyday life Plum
[103] 논문 복잡계와 네트워크 사회의 변화
[104] 서적 Social networks and organisations Sage Publications
[105] 논문 Exploring Centralities of An Online Community http://dx.doi.org/10[...] 2010-06
[106] 저널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도시공간구조의 범죄예방성능 평가 https://www.kci.go.k[...] 대한건축학회 2011
[107] 저널 The Impact of Social Structure on Economic Outcomes http://dx.doi.org/10[...] 2005-02-01
[108] 웹인용 유전자 소셜네트워크로 암유전자 찾아낸다 http://www.inews24.c[...] 2020-12-19
[109] 서적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2010
[110] 웹인용 Social Network Analysis: An Introduction by Orgnet,LLC http://www.orgnet.co[...] 2020-12-19
[111] 웹인용 외식·식품업계, 소비자 참여형 활동으로 브랜드 가치 전한다 http://www.viva100.c[...] 2020-12-19
[112] 웹인용 소셜 데이터 분석, 이제 숨은 감정까지 찾아낸다 https://zdnet.co.kr/[...] 2020
[113] 논문 Eden McCallum: A Network Based Consulting Firm 2011
[114] 웹인용 컴퓨터네트워크 https://terms.naver.[...] 2020-12-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